[한국역사고고학] 삼국의 도성과 성곽 & 불교 유적과 유물
삼국의 도성과 성곽 고구려 도성 백제 도성 신라 도성 1. 졸본, 환인지역 * 홀승골성: 입지조건과 면적을 고려할때 비상시 산성으로 추정. 2. 집안지역 * 국내성(수도성, 평지): 고구려 성벽 축조의 특징인 계단식 굽도리로 축조됨 * 환도성(방위성, 산성) 3. 평양 * 안학궁성(수도성, 평지) * 대성산성(방위성, 산성): 안학궁성에서 약 700m떨어진 위치. 고로봉식(포곡식) 산성 4. 평양 * 평양성(장안성): 586년 천도함. 대동강 연얀의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수도성과 방위성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합침. 평산성 1. 한성기 * 위례성: 최초의 도성. 몽촌-풍납토성으로 추정됨 * 몽촌토성: 3세기 후박 축성된것으로 추정. 왕궁의 역할. 평지성, 토성 *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약 1km 떨어진 위..
수업노트
2013. 12. 18.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