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황찬가(Tu es petrus) 라틴어 분석

언어/라틴어

by ∫2tdt=t²+c 2013. 3. 20. 13:32

본문


최근 카톨릭에서 새 교황이 선출되었습니다. 교황 선출하면 늘 떠오르는게 Tu es petrus라는 노래입니다. 어렸을때 목요일마다 미사 후에 성체강복을 했었는데, 그때 신부님이 저 노래를 라틴어로 불렀던게 아직도 기억에 남네요. 초등학생이 보기에는 라틴어 노래가 얼마나 웃겼던지... 하도 웃다가 혼나고 쫓겨난적이 한둘이 아닌데

한동안 까먹고 있다가 라틴어 공부한 뒤에 다시 들어보니, 이제야 문장이 보이더군요.

새 교황 프란치스코1세를 환영하며, 교황찬가(Tu es petrus) 원문을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볼래요.


Tu es petrus, et super hanc petram aedificabo ecclesiam meam.
Oremus pro Pontifice nostro ~.
Dominus conservet eum, et vivificet eum, et beatum faciat eum in terra, et non tradat eum in animam inimicorum eius.


짠. 길지는 않아요. 저기 ~ 자리에 교황의 이름이 들어가는거죠. 다양한 격과 서법과 시제가 쓰여서 문법 공부하기에는 안성맞춤인듯합니다.



Tu

 es

 Petrus

 너(2인칭 단수, 강조)

 ~이다 (2인칭 단수)
 베드로(주격)

 너!는 베드로이니


et  super  hanc

 petram

 aedificabo  ecclesiam  meam
 그리고

 위에(목적격을 취함)*

 이(여성 단수 목적격)*

 바위(단수 목적격)*

 짓다(1인칭 단수 미래)*

 교회(목적격)*

 나의(여성 단수 목적격)

 나는 이 반석 위에 나의 교회를 지을것이다.

* super : 목적격을 취하는 전치사입니다.

* hanc : 지시형용사입니다. 이(것) 이라는 뜻이지요. hic, haec, hoc로 불규칙변화를 합니다.

* petra: 바위라는 뜻의 여성 명사입니다. 헬라어에서 빌려온 놈입니다.

* aedifico : '짓다'라는 뜻의 1군동사. -bi-를 첨가하여 미래시제를 만들죠

* ecclesia : 역시 그리스어에서 왔습니다. 교회라는 뜻의 여성명사입니다.


Oremus  pro  Pontifice  nostro  ~

 기도하다(1인칭 복수 접속법)

 위해(탈격을 취함)

 대주교(단수 탈격)

 우리의(남성 단수 탈격)

 ~

 우리의 교황 ~~를 위해 기도합시다.

* 접속법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Let's의 의미로 사용됐습니다.


 Dominus  conservet  eum  et  vivificet  eum
 주(주격)

 보존하다(3인칭 단수 접속법)

 그를(3인칭 단수 목적격)  그리고  건강하게 하다(3인칭 단수 접속법)*
 그를(3인칭 단수 목적격)
 주께서 그를 지켜주시고, 건강하게 해주시길 바란다.

* 역시나 두 동사 모두 접속법이 사용되었습니다. '~하기를 바란다'정도로 해석했습니다.

* vivifico: vivo(살다) facio(만들다)로 구성된 단어로, '(다시) 살게 만들다'라는 의미입니다. 약간 의역하여 건강하게 하다 라고 했습니다.


 et  beatum  faciat  eum  in  terra
 그리고

 축복(단수 목적격)

 만들다(3인칭 단수 접속법)

 그를(3인칭 단수 목적격)  ~에(탈격을 취함)  땅(탈격)

 (주께서) 땅에서 그를 축복해주시길 바란다.

* beatum facio : 축복하다

* 계속해서 생략되고 있는 주어는 앞에서 등장했던 Dominus입니다.


 non  tradat  eum  in  animam  inimicorum  eius

 부정

 넘기다(3인칭 단수 접속법)

 그를(3인칭 단수 목적격)

 ~안으로(목적격을 취함)*

 정신(단수 목적격)

 적(복수 소유격)

 그의(3인칭 소유격)*

 그를 그의 적들의 정신으로 넘기지 마소서.

* eius: 3인칭 대명사 is, ea, id 의 소유격입니다.

* 위에 나온 in은 탈격을 취하지만, 여기에 나온 in은 목적격을 취합니다. 취하는 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것에 주의하세요.


기도문이라 그런지 직설법(indicative mood)보다는 접속법(subjunctive mood)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