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과 역사 속의 미생물: 환경지킴이로서의 미생물
환경 지킴이로서의 미생물 오수처리 -산업적 규모의 미생물 이용에 의존함 -오수처리 시설의 목표는 잠재적으로 발생할 지 모르는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유기물, 무기물을 줄이는 것. (즉, BOD를 줄이는 것)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으로써, 물 속의 유기물을 먹고 사는 미생물들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 낮을수록 깨끗한 물 -하수처리의 기본 작업은 유기물의 양을 줄여서, BOD를 낮추는 것. -유기물을 줄이는 작업으로 무기물이 늘어나는데, 침전 등을 이용해 무기물 역시 줄여야함 -마지막으로 유해한 병을 발생시키는 균을 제거함 오수처리 과정 1. 여과/침전 -물리적인 방법으로 물과 유기물/무기물을 분리해냄 2. 정화 -무산소 처리법: 산소가 없는 환경에선 다양한 혐기성 미생물을 활..
수업노트/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2012. 12. 18. 0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