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도성과 성곽
고구려 도성 |
백제 도성 |
신라 도성 |
1. 졸본, 환인지역 * 홀승골성: 입지조건과 면적을 고려할때 비상시 산성으로 추정. 2. 집안지역 * 국내성(수도성, 평지): 고구려 성벽 축조의 특징인 계단식 굽도리로 축조됨 * 환도성(방위성, 산성) 3. 평양 * 안학궁성(수도성, 평지) * 대성산성(방위성, 산성): 안학궁성에서 약 700m떨어진 위치. 고로봉식(포곡식) 산성 4. 평양 * 평양성(장안성): 586년 천도함. 대동강 연얀의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수도성과 방위성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합침. 평산성 |
1. 한성기 * 위례성: 최초의 도성. 몽촌-풍납토성으로 추정됨 * 몽촌토성: 3세기 후박 축성된것으로 추정. 왕궁의 역할. 평지성, 토성 *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약 1km 떨어진 위치. 3세기 초반 축성된것으로 추정. 규모나 대형 건물터,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별궁으로 추정. 평지성, 토성 * 한성백제 시기 2궁체제 2. 웅진기 * 공산성(웅진성): 개로왕 전사후 급박히 천도, 나성체제는 갖추지 못함. 3. 사비기 * 부여나성: 부엽공법과 무리말뚝공법으로 건설된듯. 내부에 왕궁터는 발견되지 않음 * 부소산성: 판축기법으로 축성됨. 비상시 대피성으로써의 기능도 겸비 |
1. 금성 * 기원전 1세기 중반 축조됨 *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고, 토성이었을것이라고 추정됨 2. 월성 * 2세기 초반 축조됨 * 경주가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기에 나성 체제를 발달시킬 필요가 없었음 * 임해전: 태자가 거처하는 동궁. 7세기 말 건설되어 신라말까지 그 기능을 한듯 * 월지: 임해전 옆에 있던 연못, 조선시대에는 안압지라고 불림 |
삼국의 불교 유물
고구려 |
백제 |
신라 |
정릉사: 5세기 초, 동명왕릉 남쪽에 위치. 1탑3금당 양식의 8각목탑 금강사: 5세기 말, 평양 천도 이후 세워진 절로 청암리 토성에 위치, 1탑3금당 양식의 8각목탑 |
부여 능사: 6세기 중반, 부여 나성 동쪽에 위치, 1탑1금당 양식의 목탑, 백제금동대향로, 백제창왕명사리감 등 발견. 왕권 회복의 상징물 * 백제금동대향로: 박산향로로 신선세계를 표현한것(한나라 양식) 연화화생의 불교적 세계관을 다양하게 묘사함(백제 고유의 것), 신선 도가 불교 사상 *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목탑지 심초석 옆에서 발견됨, 두번째로 발견된 왕명이 들어간 명문. 부여 왕흥사지: 6세기 중반, 1탑1금당 양식의 목탑, 백제창왕명사리기 발견 부여 정림사지: 6세기 중반, 1탑1금당양식의 석탑-정림사지 5층석탑: 안쏠림, 민흘림기둥 익산 미륵사지: 7세기 초반, 3탑3금당 양식의 석탑-미륵사지 석탑: 목조건축양식 사용, 심주가 있음. 백제의 독창적인 탑 건축 양식. |
흥륜사지: 6세기 중반, 불교 공인후 최초의 사찰, 얼굴무늬 수막새 발견, 현 경주공업고등학교가 그 부지인것으로 밝혀짐 황룡사지: 6세기 중반~8세기까지 크게 3번으로 나누어 건축됨. 1. 황룡사 축조: 1탑3금당양식, 신라 최대 규모 2. 9층목탑건립: 주변의 아홉나라를 다스리겠다는 호국적 성격을 지님 3. 황룡사종 제작: 성덕대왕신종보다 17년 앞서서 조성됨 분황사지: 7세기 중반, 1탑 3금당 양식의 모전석탑: 감실 입구에 인왕상을 배치한 최古의 석탑 통일후 탑 조성이 2탑식으로 바뀜 감은사지: 7세기 말, 2탑1금당 양식, 통일 기념비적인 호국 사찰 불국사: 이차돈 순교(527) 다음해 창건되었고, 통일후 8세기 중반부터 중창됨. 대웅전(2탑1금당), 극락전, 비로전, 관음전, 법화전으로 구성하여 불국토의 세계를 꾸밈 * 석가탑: 현세 부처 석가여래 * 다보탑: 과거 부처 다보여래 |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 경남 의령군에서 발견, 광배-불신-대좌를 함께 주조 연가7년명 금동일광삼존불: 평양 궁터에서 출토, 광배-대좌-본존불을 별도로 제작 |
[음악사] 기말 정리 (0) | 2014.04.18 |
---|---|
[음악사] 중간 정리 (0) | 2014.04.18 |
[한국역사고고학] 삼국의 무덤 양식 (0) | 2013.12.19 |
[디지털도서관구축론] Fedora Common 설치 과정 (1) | 2013.10.30 |
[한국역사고고학] 2.3 고조선의 유적과 유구 (0) | 2013.10.25 |
[한국역사고고학] 2. 고조선 고고학 (0) | 2013.10.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