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중세사회사특강: 농업생산력의 발달

수업노트

by ∫2tdt=t²+c 2012. 12. 17. 00:14

본문

농업생산력의 발달

농업생산력에 대한 연구 방법론

생산력 발달의 범주

사회적 생산력: 자연에 대한 인간노동력과 노동수단생산수단(노동력 노동수단 노동대상)을 둘러싼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변동노동생산성(1인당 생산량)의 변동, 토지생산성(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동

생산관계와 생산물의 모순 -> 사회 변동의 요인

사회구성: 다양한 생산관계로 이루어진 경제구조와 그것을 지배하는 정치법률 제도까지도 포함하는 개념

농업사와 농업기술사: 농법(경작법, 농업기술, 수리시설, 농기구) 연구는 생산력 발달을 통해 사회구성체를 밝혀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조선후기 농업생산력의 발달

논농사와 이앙법

이전에는 직파법을 사용했으나, 후기 이앙법의 도입으로 노동력절감과 고용노동을 확대시키는 계기가 됨

노동생산성과 토지생산성 모두 증대됨

또한 보리, 밀을 추수할 시간이 생겨서 이모작이 가능해짐

밭농사와 견종법: 견종법, 그루갈이, 사이짓기가 일반화됨

그루갈이: 가을보리와 콩, 조를 재배하여 12작 혹은 23작을 달성함

사이짓기: 밭 작물 사이에 다른 작물을 파종하여 12작을 달성함

작부체계의 발달: 연작상경 단계를 넘어 윤작 체계에 도달함 -> 시비법 발달

중세 농업기술은 휴경전을 줄여나가며 연작상경 농법을 발달시키는 과정.

시비법: 분종, 분과, 분전으로 확대 발전됨

농기구 개량과 다양화

새로운 작물 도입: 구황작물, 감자, 고구마, 고추, 호박, 토마토가 도입됨

 

수리 시설

15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제언은 2배 가량 증가

보의 증가

 

농서편찬

농서편찬

농서의 성격

지주 입장의 농업생산력 발전 방향: 주자의 권농문 강조, 송시열 입장

소농 입장의 농업생산력 발전 방향: 실학계열

 

상업적 농업의 발달

지주적 상품작물과 농민적 상품작물

작물의 상품화

 

농업사 연구동향과 방법론: 정체성론 vs 내재적 발전론

서구의 자본주의 발달과 세계사 발전법칙

농촌사회 해체와 농노의 탈주, 도시의 발달

도시에서의 전문화된 수공업 길드 발전, 부르주아 탄생

상업과 수공업 분리, 상업과 시장 확대, 도시 분업화 가속

국가 간의 자유무역정책과 세계시장 독점, 세계 자본주의 체제

생산력 측정과 계량사적 방법론: ‘키 없는 배’, ‘소 시장과 무게 통계

인구, 임금, 이자율, 논 가격, 미곡시장에 관한 수량경제사 연구

연구 결과는 미시적이어서 전체를 설명해 내지 못함, 비역사적 이론과 도식화의 위험성이 있음

계량사의 기능과 역사학은 경제학과 역사학의 관계와 유사.

내적 발전론: 정체성론 비판, 아시아적 생산양식과 동양적 정체성 비판

아시아적 정체성, 특질론

농공 미분리, 도시 미발달, 동양적 전제 군주, 사적소유 미발달, 정체론

아시아적 생산양식 논쟁

A. 원시공동체에서 농업공동체로 이행하였음 : 고대노예제 사회로 이행하지 못했음?

B. 독자적 사회구성체로써, 역사발전5단계 적용이 불가능함?

C. 노예제, 봉건제가 아시아에서 특수한 형태로 발현된 것?

D. 노예제와 봉건제가 혼합된 복합적 관계?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