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큰 O는 log x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메뉴 리스트

  • 홈
  • Tag
  • Guestbook
  • Admin
  • 분류 전체보기
    • 적분史
    • 프로그래밍
      • PG어
      • 테크닉
      • 3D
      • Multi precision
      • 포니게임개발
      • 스페샬
      • NLP
    • 소리
    • 언어
      • 어원 이야기
      • 라틴어
    • 수업노트
      • 한국고대경제와사회
      • 영어구조론
      • 정보검색론
      • 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 기타
    • 잉여
      • 미래
      • 수학
      • 종교개혁
    • 그냥 공부
    • 가짜 정보 정정합니다.

검색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언어/어원 이야기

  • 어원 이야기 63. 세미나(Seminar)가 뭔가요?

    2014.04.12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62. Z는 제트인가 지인가

    2013.07.12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61. 파마와 덴뿌라의 공통점!

    2013.04.18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60. 택시(taxi)와 세금(tax)의 관계

    2012.11.17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59. lamp와 lantern

    2012.11.1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58. 마법(magic)의 어원은?

    2012.11.09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57. 젤리(jelly)와 감기(cold)

    2012.11.02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56. rhyme과 ratio와 reason의 공통점

    2012.10.31 by ∫2tdt=t²+c

어원 이야기 63. 세미나(Seminar)가 뭔가요?

세미나라는 단어가 언젠가부터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언제 무슨 세미나를 하니깐 꼭 참여하라거나, 이번 세미나 주제는 ~라거나 하는식으로요. 근데 정작 세미나의 뜻이 뭐냐고 물어보면 다들 우물쭈물해버리고 맙니다. 그런데 보통 다음의 이미지를 떠올리는건 확실한 듯합니다. * 그냥 스터디는 아니다. 뭔가 스터디보다는 고급스러운 공부방법* 일방적인 강의 형식이 아니라 발표나 토론이 가미된 복합적인 수업 이런 정도의 뉘앙스를 가지고 있기에 (또 스터디라고 하면 싸보이지만 세미나라고 하면 뭔가 있어보여서) 여러 곳에 사용되는것일지도 모릅니다. 사전에 의하면 세미나는 교수의 지도 아래 학생들이 모여 연구 발표나 토론 등을 통하여 하는 공동 연구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세미나가 위의 사진에 나오는 못자리..

언어/어원 이야기 2014. 4. 12. 15:03

어원 이야기 62. Z는 제트인가 지인가

알파벳 Z를 소리내어 발음하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봤을겁니다. 얘를 '제트'라고 읽어야 하나, '지'라고 읽어야 하나. 따지고 보면 별거 아니긴한데, 영어 관련 수업이나 영문과 수업을 듣고 있거나 외국인이 있다면 "영어 잘못 배운놈" 소리 듣진 않을까 걱정하면서 교수님의 발음을 따라가거나 원어민의 발음에 묻어가려고 해본 사람들 많을 것에요.근데 왜 많고 많은 알파벳들 중에서 하필이면 Z만 이렇게 말썽을 부리는 걸까. 갑자기 궁금해져서 그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았습니다. (알파벳의 역사를 파고 올라가는건 시간이 오래걸리고 글이 장황해질거 같으니까 간단하게 생략하고) 알파벳은 유래가 긴 만큼 이름도 복잡했죠. 아마 그 이름은 셈조어 알파벳으로 추정되는 친구로부터 기원하는 거 같은데, 그 영향을..

언어/어원 이야기 2013. 7. 12. 00:56

어원 이야기 61. 파마와 덴뿌라의 공통점!

뜬금없이 퀴즈를 던져봅니다. '파마'와 '덴뿌라'라는 단어의 공통점은 뭐가 있을까요? 잘 생각해보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 단어가 다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찾아낼 것입니다. 파마는 'permanent'라는 영어단어를 일본인들이 줄여부른것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이고, 덴뿌라는 뭔지 모르겠는데 딱 봐도 일본어 같으니까요. 그런데 그걸로 끝날것이면 어원이야기를 쓸 필요가 없겠죠? 그렇다면 두 단어의 다른 공통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답은 둘다 라틴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와우! 파마는 라틴어 동사 permaneo에서, 덴뿌라는 라틴어 명사 tempora에서 유래한것 입니다. 먼저 파마의 유래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다들 아시겠지만, '파마'라고 부르는 기술은 열처리를 이용해 (반)영구적으로 머릿결..

언어/어원 이야기 2013. 4. 18. 22:55

어원 이야기 60. 택시(taxi)와 세금(tax)의 관계

어릴적에는 taxi라는 이름이 전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았는데, 영어 공부를 하면서 tax가 세금이라는 뜻인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후로 택시를 볼때마다 '저게 도대체 세금이랑 무슨 상관이 있길래 이름이 taxi인거지?'하면서 갸우뚱거렸죠ㅋ 근데 이제는 갸우뚱거리지 않아도 됩니다! 그 이유를 알았으니깐요~ 현재 사용되는 taxi는 taxicab의 줄임말입니다. 이제는 taxi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지만, 처음에는 taxicab으로 사용되었다는걸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혹은 taxicab을 줄여서 cab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역시 의미는 택시!) 그러면 taxicab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요? taxicab 역시 두 단어가 합쳐지고 줄여져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taximeter cabriolet에서 앞..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1. 17. 23:54

어원 이야기 59. lamp와 lantern

남포라는 말을 아시나요? 석유를 넣어서 불을 붙여 주위를 밝히던 등잔불이나 전등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이는 네덜란드어 lamp가 일본어를 거쳐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고, ㄹ이 앞에나오는 걸 싫어하는 한국인들이 [ㄹ]을 [ㄴ]으로 바꿔버려서 남포라는 말이 된거죠. 각설하고ㅋ, 램프(lamp)말고도 랜턴(lantern)이라고 부르는 전등들도 있습니다. 뭔가 둘다 빛을 내서 주위를 밝히는 물건을 말하는데, 약간의 느낌 차이는 있지요. lamp는 뭔가 좀더 덩치가 크고 들고다니기보다는 내려두고 사용하는 느낌이라면, lantern은 들고다닐수 있는 크기가 작은 손전등 같은 느낌이랄까? 원인도유럽어에는 '빛을 낸다'는 뜻의 *lap-이라는 어근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나온 헬라어로 λάμπω(lampo, 남포..!와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1. 16. 17:49

어원 이야기 58. 마법(magic)의 어원은?

Magic?! 마법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이를 알아보려면 고대 페르시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합니다. 헤로도토스는 에서 μάγος(magos)라는 존재를 언급합니다. 마고스는 메디아 왕국의 조로 아스터교의 제사장 계급이라고 추측됩니다. 이들은 시체를 새나 개에게 뜯어 먹게 하거나, 개미나 뱀을 비롯하여 그 외의 파충류들을 무차별하게 죽이는 특이한 습관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리스, 로마인들은 조로아스터교의 제사 의식이 신기해보였나봅니다. μάγος는 라틴어로 넘어와서 magus(복수형은 magi)가 되었죠. 고대의 제사장이라는 직업이 다 그렇듯이, 자신들이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존재라는것을 보여주기 위해 신비한 의식과 행동들을 해야했을겁니다. 페르시아 역시 마찬가지였겠죠. 유럽인들은 이 제사장들이 하는 점..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1. 9. 13:37

어원 이야기 57. 젤리(jelly)와 감기(cold)

추워요. 겨울입니다.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감기는 영어로 cold인데 이는 추우면(cold) 걸리고 걸리면 추워지기 때문이겠지요? (실제로는 감기가 꼭 추워서 걸리는건 아니지만ㅋ) 그런 의미에서 감기를 cold라고 이름붙인건 참 적절한거 같습니다.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전혀 관계 없어 보이는 두 단어 Jelly와 Cold는 같은 어근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차가운'이라는 의미를 지닌 영어단어 cold는 고대 영어 cald에서 왔습니다. 이 말은 원게르만어 *kal- (얼리다, 차갑게 하다)의 분사형인 *kaldaz에서 유래했습니다. 독일어로 '차가운'이 kalt인것 역시 같은 어근에서 나왔기 때문이지요. 원게르만어 *kal- 은 원인도유럽어 *gel-에서 갈라져 나왔다..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1. 2. 21:25

어원 이야기 56. rhyme과 ratio와 reason의 공통점

전 뼛속까지 공대마인드라 ratio라는 단어를 보면 위 그림처럼 비율을 잘 갖춘 도형밖에 생각나지 않습니다.ㅎㅎ 여러 분들은 ratio를 보면 어떤것을 떠올리나요?오늘의 주제는 rhyme과 ratio, reason의 공통점을 찾는 것입니다. (아, 모두 r로 시작한다는 공통점이...)사실 이 세 단어가 r로 시작하는건 우연의 일치가 아닙니다. 한 번 각각의 어원을 찾아봅시다. rhyme이라는 영어단어는 음악이나 시를 쓰는 사람들은 많이 들어봤을텐데요, '운율'을 뜻합니다. 운율이 잘 맞는 노래가사나 시를 보면서 rhyme이 살았다고들 많이 말하지요. 그때의 그 rhyme입니다.rhyme은 중세 영어 rime에서 유래했는데요, rime은 숫자, 운문을 뜻했습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고대 영어 rim에서 나..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0. 31. 15: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글쓴이 ∫2tdt=t²+c

블로그 이미지

제가 안 것의 대부분은 인터넷으로부터 왔으니, 다시 인터넷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bab2min@gmail.com

댓글

태그

python 문헌정보통계 pg어 악보 포니게임 텍스트 마이닝 한국고대경제와사회 영어구조론 정보조직론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라틴어 자연언어처리 NLP BigFloat c++ 리듬게임 토픽 모델링 php kiwi Direct3D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페이징

이전
1 2 3 4 ··· 8
다음
나의 큰 O는 log x야
메일 bab2min@gmail.com
Skin Images are from Stinkehun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