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큰 O는 log x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메뉴 리스트

  • 홈
  • Tag
  • Guestbook
  • Admin
  • 분류 전체보기
    • 적분史
    • 프로그래밍
      • PG어
      • 테크닉
      • 3D
      • Multi precision
      • 포니게임개발
      • 스페샬
      • NLP
    • 소리
    • 언어
      • 어원 이야기
      • 라틴어
    • 수업노트
      • 한국고대경제와사회
      • 영어구조론
      • 정보검색론
      • 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 기타
    • 잉여
      • 미래
      • 수학
      • 종교개혁
    • 그냥 공부
    • 가짜 정보 정정합니다.

검색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언어

  • 어원 이야기 36. control이 생명이지.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5. 부정관사 누가 만들었어! - a/an은 어디서 왔나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4. 할수있당께(able)는 가지고있당(have)께.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3. 과학(science)과 양심(conscience)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2. 창문(window)과 바람(wind)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1. 포켓몬 프테라(ptera?)와 헬리콥터(helicopter)의 관계.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0. 사무(office)와 오페라(opera)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9. children에서 ren은 뭐냐?

    2012.06.06 by ∫2tdt=t²+c

어원 이야기 36. control이 생명이지.

control이 생명이지.게임하면서 배운 영단어인 control. (아마 많은 남학생들이 영어교재에서보다 게임에서 이 단어를 먼저접했을거라고 장담합니다...) 너무 친근해서 이제 그냥 한국어 같기도 한 이 단어, 예상치 못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control은 원래 라틴어 단어 contrarotulum에서 왔습니다. contra + rotulus의 중성형인데, contra는 against, opposite의 뜻을 지닌 흔한 전치사이지요(근데 왜 난 아는게 콘트라베이스밖에 없지... 실은 contrast, contrary 등과 같은 어근을 가진 놈이랍니다.) rotulus는 rota의 귀여운 표현인데, rota가 '커다란 바퀴, 수레'를 뜻한다면 rotula는 '조그만 바퀴', '돌돌마는 것' 등을 뜻..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8

어원 이야기 35. 부정관사 누가 만들었어! - a/an은 어디서 왔나

부정관사 누가 만들었어! - a/an은 어디서 왔나참 영어를 아무리 배워도 쉽게 이해할수 없는게 관사이지요. 부정관사 a / an. 아직도 언제 써야하는지 잘 모르겠다는....(....ㅠㅠ) 그런데 알고보면 관사라는게 애초에 원 인도유럽어에는 없었다는게 함정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대명사가 슬쩍 모습을 바꿔서 관사가 되는 마법이 일어난거지요.'불특정한 하나'를 뜻할때 쓰이는 a/an은 알고보면 영어의 one과 같은 어미를 두고 있습니다. 현대영어의 one은 고대 영어에서는 'an'이라는 형태로 나타났지요. 이 뿌리를 찾아보면 PIE *oynos가 있습니다. 여기서 어미가 탈락하고 모음 음질이 변하여 an이 된것이지요. 같은 뿌리의 단어로 하나를 독일어의 ein, 나타내는 라틴어 명사 unus 등등이 있습..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8

어원 이야기 34. 할수있당께(able)는 가지고있당(have)께.

할수있당께(able)는 가지고있당(have)께.HABESNE HABILA? 당신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까.영어단어에서 널리 쓰이는 접미사 -able과, 형용사 able은 '~할수있는, 가능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언뜻보면 순 영어일것만 같은 able이라는 단어, 실은 라틴어에서 나왔습니다.라틴어 동사 habeo는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파생된 형용사 habilis는 '적합한, 손재주있는, 능력있는'이란 의미가 있지요. (어... 이 단어 많이 들어봤는데... Homo habilis(호모 하빌리스,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 인류의 조상 중 하나.ㅋ) habilis의 중성형태가 고대 프랑스어로 넘어가면서 habile가 되었고, 이 싸람들이 h발음을 잘 안하다보니 h가..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7

어원 이야기 33. 과학(science)과 양심(conscience)

과학(science)과 양심(conscience)SCIO ME NIHIL SCIRE. (나는 내가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 - 소크라테스) 뜬금없이 라틴어 문장으로 시작해버렸네요. science와 conscience는 관련이 있을까요? 딱봐도 conscience = con science 라는건 알수 있지만, 그 이상은...힌트는 첫 문장에 있습니다. 라틴어 동사 scio는 '알다'라는 뜻을 가집니다.두 단어 모두 왠지 scio에서 파생되었을거 같지요? scio의 현재분사형 sciens, scientis에서 scientia(지식)라는 명사가 나왔고 이것이 바로 영단어 science가 된 것입니다.conscience는 비슷하게 conscio에서 나왔습니다. con(함께)와 scio(알다)가 합쳐진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7

어원 이야기 32. 창문(window)과 바람(wind)

창문(window)과 바람(wind)창문은 한자 窓에서 왔습니다. 窓을 잘 살펴보면 구멍 혈(穴)자를 찾을 수 있는데, 아마 벽에 난 구멍이란 뜻에서 저렇게 한자를 만들지 않았을까요?게르만 족들은 생각이 달랐나 봅니다. window의 어원을 찾아가보면 알 수 있지요. 영단어 window는 고대 노르드어 vindauga에서 왔다고 추정됩니다. vindauga는 vindr와 auga의 합성어인데, vindr는 *we(windaz, ventus ... wind)에서 온 바람이라는 뜻이고, auga는 *oku(auko, oculus ... eye)에서 온 눈이라는 뜻입니다. 즉 window는 바람의 눈이라는 거지요. 바람이 드나든다고 해서 그렇게 지었나봅니다.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6

어원 이야기 31. 포켓몬 프테라(ptera?)와 헬리콥터(helicopter)의 관계.

포켓몬 프테라(ptera?)와 헬리콥터(helicopter)의 관계.오늘은 뜬금없이 책을 읽다가 번쩍하고 깨달아서 설레했던 내용을 가지고 글을 써보겠습니다. 포켓몬스터를 해보았다면(고전 중의 고전!!!) 1세대 포켓몬 중 회색의 익룡 포켓몬인 프테라를 알겁니다. 이 프테라랑 헬리콥터(날것)가 공통 어근을 가지고 있다면 믿으시겠나요?영단어 helicopter는 그리스어에서 나왔습니다. '나선형'을 뜻하는 helix와 '날개'를 뜻하는 pteron의 합성어로 helix pteron 해서, '날개가 나선형으로 도는 것'해서 helicopter가 된것이지요. 여기서 눈 여겨 볼 그리스어는 pteron으로 이 어휘는 다양하게 활용되어(주로 학술적인 용어로) 영어단어 속에 들어와 있습니다. Diptear나 Pter..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6

어원 이야기 30. 사무(office)와 오페라(opera)

사무(office)와 오페라(opera)전혀 연관 없어보이는 사무(office)랑 오페라(opera)가 같은 어원에서 나왔다는 사실! 영단어 office는 업무, 사업 등을 뜻하는 라틴어 명사 officium에서 나왔답니다. 이 officium은 opificium이 변형된것이고, opificium은 opifex (opi(일) facio(하다, 만들다))에서 나온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 쓰인 라틴어 명사 opus는 일, 성취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언뜻 2군명사처럼 보이는 opus는 실제로는 3군명사입니다. (opus, operis, operi, operem, opere // opera, operum, operibus, opera, operibus) opus의 주격 복수형이 opera입니다. 즉 '일..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5

어원 이야기 29. children에서 ren은 뭐냐?

children에서 ren은 뭐냐?때때로 불규칙으로 보이는 문법, 어휘, 발음들도 그 언어의 역사를 살펴보면 원래는 규칙이었던 경우가 많습니다. 불규칙이 개쩔기로 유명한 영어도 실은 생각보다 규칙이란게 있었답니다. 많은 사람들을 골아프게하는 불규칙 복수도 마찬가지입니다.child의 복수형은 childs가 아니라 children입니다. 이거 참 짜증나지 않을수가 없는데 (자주보다보니깐 익숙해졌지만) 실은 이건 그냥 복수도 아니고 초특급 복수(?)입니다... 중세영어에는 복수형 어미가 여러가지가 있었습니다. -s도 있었고, -er도 있었고, -en도 있었고... -er과 -en은 지금은 더이상 쓰이지 않고 몇몇 단어들에게서 흔적만 찾아볼수가 있지요.-er가 붙은 복수 명사에는 childer, calver,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글쓴이 ∫2tdt=t²+c

블로그 이미지

제가 안 것의 대부분은 인터넷으로부터 왔으니, 다시 인터넷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bab2min@gmail.com

댓글

태그

포니게임 리듬게임 한국고대경제와사회 NLP pg어 악보 자연언어처리 정보조직론 텍스트 마이닝 python 문헌정보통계 영어구조론 php Direct3D BigFloat 라틴어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c++ 토픽 모델링 kiwi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페이징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
나의 큰 O는 log x야
메일 bab2min@gmail.com
Skin Images are from Stinkehun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