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큰 O는 log x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메뉴 리스트

  • 홈
  • Tag
  • Guestbook
  • Admin
  • 분류 전체보기
    • 적분史
    • 프로그래밍
      • PG어
      • 테크닉
      • 3D
      • Multi precision
      • 포니게임개발
      • 스페샬
      • NLP
    • 소리
    • 언어
      • 어원 이야기
      • 라틴어
    • 수업노트
      • 한국고대경제와사회
      • 영어구조론
      • 정보검색론
      • 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 기타
    • 잉여
      • 미래
      • 수학
      • 종교개혁
    • 그냥 공부
    • 가짜 정보 정정합니다.

검색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언어

  • 한글은 그렇게나 우수한 걸까

    2012.10.09 by ∫2tdt=t²+c

  • 라틴어 단어 외우기

    2012.10.08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42. 두 개의 빛 twilight

    2012.10.08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41. 왕자(Prince)와 공주(Princess)

    2012.10.08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40. 웃음(Smile)은 기적(Miracle)!

    2012.10.08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9. 요일 이름의 기원

    2012.06.13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8. pen과 pencil의 관계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37. check와 chess는 한 뿌리!

    2012.06.06 by ∫2tdt=t²+c

한글은 그렇게나 우수한 걸까

어김없이 한글날이 돌아왔다. 한글날만 되면 온 언론매체에서 한글의 위대함을 찬양하느라 정신이 없는데, 그 중에는 '민족주의 애국심'(흔히 국빠라고 불리는 사람들)에 도취되어 말도 안되는 주장들을 하는 사람들도 많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에 대한 오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한글은 말이 아닙니다. 문자입니다. 한글은 세계인도 인정한 우수한 우리말 이라고 수많은 사람들이 말하지만, 여기에는 문자와 언어를 혼동하는 오류가 숨어있습니다. 영어와 알파벳을 구분못하는 오류와 같은것이지요. major of history 는 영어지만, maior historiae는 라틴어입니다. 하지만 둘다 로마자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자와 언어를 혼동하는 오류는 maior historiae가 알파벳으로 쓰여있으니 영어..

언어 2012. 10. 9. 15:39

라틴어 단어 외우기

저번에 개발했던 http://bab2min.tistory.com/129 BlinkMemory를 웹으로 이식했다. Oxford Latin Course I, II의 단어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아직 '시험'기능은 미구현 상태. http://simple.bab2min.pe.kr/Latin/?data=EasyOxfordLatinCourse1.dat http://simple.bab2min.pe.kr/Latin/?data=OxfordLatinCourse2.dat

언어 2012. 10. 8. 20:55

어원 이야기 42. 두 개의 빛 twilight

Twilight하면 '황혼', 혹은 '어스름', '박명'을 뜻하는 영어단어입니다. 해가 질 무렵에 훤하게 하늘이 밝은 현상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사진은... 노을처럼 보이네 이런ㅋ 노을은 twilight과는 상관없어요. 노을은 red sky, red sunset 등으로 불립니다.) 요즘엔 Twilight이라고 하면 다들 영화를 떠올리더라구요. 무서운 매체의 힘ㅋ Twilight의 어원을 찾아보면 참 기똥찹니다. Twi + Light로 Twi는 당연히 Twin(쌍둥이)의 Twi랑 같은 어근으로써 '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Light는 말 그대로 '빛'입니다. 이게 무슨의미인고 하니, 해질무렵은 태양빛과 달빛이 공존하는 시기지요. 그래서 고대 게르만인들은 이 시기를 '두 빛'이 공존하는 때라고 부른것입..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0. 8. 20:22

어원 이야기 41. 왕자(Prince)와 공주(Princess)

왕자(Prince)와 공주(Princess) 친절하게도 왕자와 공주는 Prince와 Princess는 비슷하게 생겨서 같은 종류의 것(?)을 가리킨다는 걸 알려줍니다. 당연히 두 단어의 어원도 같습니다. 라틴어 명사 princeps(왕자)에서 왔습니다. princeps는 primus(first, 제일의) capio(take, catch, 잡다) 해서 '최고 통수권자'를 뜻하지요. princeps라는 라틴어명사가 영어로 들어오면서, 어말이 탈락해 prince가 되었고, 여기에 여성형을 만드는 접미사 -ess (actress, waitress 할때의 -ess)가 붙어서 princess가 만들어진거지요. 보시기에좋습니다.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0. 8. 20:02

어원 이야기 40. 웃음(Smile)은 기적(Miracle)!

웃음(Smile)은 기적(Miracle)! 이런 저런 단어들의 어원을 찾아다니다 보면, 기적 같은 일들이 가끔 일어나는데, 웃음과 기적의 관계가 바로 딱 그런것일겁니다.Smile은 게르만 어군을 타고 들어온 단어인데, 고대 노르드어 smila에서 유래했습니다. smila는 원 인구어 어근 *smey-에서 유래되었구요, PIE *smey-는 웃다, 반기다, 놀라워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길을가다 오랫만에 반가운 사람을 만나서 웃으며 놀라워하는 상황에 딱 맞는 그런단어지요. *smey-가 라틴어로 넘어갈때는 두음이 탈락해서 mir-가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나온 라틴어 동사가 miror (놀라다)입니다. 여기에 명사화 어미 culum이 붙어 miraculum(놀라움, 놀라운것)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졌..

언어/어원 이야기 2012. 10. 8. 19:58

어원 이야기 39. 요일 이름의 기원

오늘의 어원 이야기 : 요일 이름의 기원 어릴때부터 외워와서 당연해 보이는 요일 이름들의 기원을 찾아봅시다. 요즘 사람들은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day, Friday, Saturday, Sunday 라는 이름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전혀 모르지만, 처음 요일에 이름을 붙인사람들은 엄연히 다 뜻이 있었지요. 이 모든건 로마의 영향을 받은건데, 로마인들은 요일이나 달의 이름에 신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쥬피터의 날', '비너스의 날' 이런 식으로요. 로마인들은 월요일부터 차례대로 달(dies Lunae), 마르스(dies Martis), 머큐리(dies Mercuii), 쥬피터(dies Iovis), 비너스(dies Veneris), 새턴(dies Saturni), 태양(d..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13. 01:50

어원 이야기 38. pen과 pencil의 관계

pen과 pencil의 관계pen과 pencil, 펜과 연필은 대표적인 필기구입니다. 둘이 용도가 비슷한데 영어 이름도 비슷해서 pencil에 있는 pen-이 pen이랑 어떤 연관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되는데요, 그건 역사를 살펴보면 알수 있겠죠.펜은 기원전 500년경 인도에서부터 쓰이기 시작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헐킈 짱오래됐네?) 주로 깃털이나 대나무 막대기의 뾰족한 끝에 잉크를 묻혀서 사용했는데, 이 장면은 영화같은데에서 자주 봤을겁니다. pen은 여기서 나왔습니다. 라틴어 명사 penna에서 나온것인데, 이는 깃털이라는 뜻이지요. 저번에 [ptera와 helicopter] 편에서 나왔던 pter라는 어근이 기억나려나요? 날개, 깃털을 뜻하는 PIE 어근이었는데, 이것이 petna로 변형되..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9

어원 이야기 37. check와 chess는 한 뿌리!

check와 chess는 한 뿌리!check라는 영단어는 너무 흔하게 쓰여서 마치 그냥 토착 영어일거 같지만, 실은 멀리서 온 단어입니다. 체크 리스트, 체크하다 등의 의미로 쓰이는 체크에서부터, 체크카드와 체크무늬, 체크메이트 등에 쓰이는 체크까지. 의미도 참 넓습니다.하지만 이 모든 check는 실은 체스에서 유래된것이지요. (체크 무늬는 실은 체스판 무늬잖아요...?!!!) chess, checkmate, check 라는 단어 모두는 체스 게임이 유래된 페르시아어에서 나온겁니다.페르시아어로 'shah'는 '왕'이라는 뜻입니다. '왕을 잡는 말판 놀이'를 본 외지 사람들은 페르시아 사람들이 'shah' 'shah'거리는 것을 보고, 아 저게 shah이구나! 한거지요. 이 단어가 아랍을 거쳐 라틴어로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글쓴이 ∫2tdt=t²+c

블로그 이미지

제가 안 것의 대부분은 인터넷으로부터 왔으니, 다시 인터넷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bab2min@gmail.com

댓글

태그

한국고대경제와사회 텍스트 마이닝 리듬게임 php python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자연언어처리 Direct3D 문헌정보통계 정보조직론 BigFloat kiwi pg어 포니게임 NLP 라틴어 영어구조론 악보 토픽 모델링 c++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나의 큰 O는 log x야
메일 bab2min@gmail.com
Skin Images are from Stinkehun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