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큰 O는 log x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메뉴 리스트

  • 홈
  • Tag
  • Guestbook
  • Admin
  • 분류 전체보기
    • 적분史
    • 프로그래밍
      • PG어
      • 테크닉
      • 3D
      • Multi precision
      • 포니게임개발
      • 스페샬
      • NLP
    • 소리
    • 언어
      • 어원 이야기
      • 라틴어
    • 수업노트
      • 한국고대경제와사회
      • 영어구조론
      • 정보검색론
      • 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 기타
    • 잉여
      • 미래
      • 수학
      • 종교개혁
    • 그냥 공부
    • 가짜 정보 정정합니다.

검색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언어

  • 어원 이야기 28. 번역(translate)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7. 역사(history)란 아는 것.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6. 우주(universe)와 대학(university)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5.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과 전체(entire)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4. 의심(doubt)의 철자를 의심해보오...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3. 차(car)는 달리는것.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2. 버거(burger)는 지역 이름이었다!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21. 사탕(candy)과 설탕(sugar)

    2012.06.06 by ∫2tdt=t²+c

어원 이야기 28. 번역(translate)

번역(translate)영단어 translate는 라틴어 냄새가 너무 풀풀나서 어원이 뻔히 보이지요. 딱 보아도 trans(across) + latus(carried)입니다. 한 쪽에 있던거를 건너서 다른쯕으로 옮긴다는 의미지요. 라틴어 동사 transfero의 과거분사입니다.근데 과연 영어에는 번역하다는 뜻의 어휘가 없어서 라틴어를 가져왔을까요? 아닙니다. 중세 영어까지만해도 aweden(바꾸다, 번역하다)과 같은 어휘들이 있었으나, 라틴어한테 밀려서 사라진 것이지요.한국어에서 보이는, 한자에 밀려 고유어가 사라지는 현상과 비슷한것이 영어에서도 일어났지요. (무지막지하게 많이...) 뭐 그래서 가끔씩 엄청난 언어 순혈주의를 가진 사람들은 라틴이나 기타 언어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앵글로색슨족의 어휘만 사..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2:04

어원 이야기 27. 역사(history)란 아는 것.

역사(history)란 아는 것.영단어 history는 역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거참 사학과로서 뭐라고 대답해야할지 모르겠으나, history라는 단어를 쓴 사람들은 아마 역사는 아는 것,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했나봅니다.PIE어근인 *wid-는 '지식'이라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파생된 고대 그리스어 histor는 '아는 사람', '전문가'를 뜻했고, 이것의 동사형태인 historeo는 '알다', '탐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됐습니다. 그 명사형태는 이러저러해서 라틴어로 넘어와서 historia가 되었구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라는 뜻이 되었습니다.보너스로 영단어 story라는 단어는 history에서 두음이 약화-소실되어서 생긴 단어입니다. h..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51

어원 이야기 26. 우주(universe)와 대학(university)

우주(universe)와 대학(university)어릴 때는 universe랑 university를 매우매우 헷갈렸습니다. (글쓴이만 그런줄도 모르겠지만) 생긴건 정말 비슷한 단어가 전혀 뜻이 상관이 없으니깐 그것처럼 짜증나는 일도 없더라구요. 하지만 어원을 찾아가 보면 그 이유가 다 풀립니다. 출발합니다. 영단어 universe는 우주, 전 영역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비슷하게 생긴 라틴어 명사 universum에서 유래했습니다. universum은 unus + versus의 중성형태인데, unus는 '하나'라는 뜻의 수사, versus는 verto(돌다)의 과거분사 형태입니다. 그러니 universus는 turned into one이라는 의미가 되겠지요. 즉 '하나로 합쳐진 것',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50

어원 이야기 25.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과 전체(entire)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과 전체(entire)(오늘은 25회를 맞이하여, 적분 이야기를 해봅니다. 제 닉인 적분은 ∫기호에서 나온거랍니다. 그래서 몇몇 사람들은 이를 integral이라고도 부르는데, 오늘 출발은 여기서부터합니다.)integral이라는 영단어를 보고 적분기호를 떠올리면 이공계생, '통합의'라는 뜻을 떠올리면 문과생이라는 얘기가 있지요. 한 단어가 이런 애매한 두 의미를 지닌다니, 요상한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역사를 거슬러거슬러 올라가면 이 애매함이 모두 해결되겠지요!!!integral이라는 영단어는 integer라는 라틴어 형용사에서 나왔습니다. integer는 '닿지 않은', '바뀌지 않은', '다치지 않은', '신선한'이라는 의미를 가졌는데요, 알고보면 in(부..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9

어원 이야기 24. 의심(doubt)의 철자를 의심해보오...

의심(doubt)의 철자를 의심해보오...'의심하다'는 의미의 영단어 doubt는 거참 마음에 안 들게도 소리 안나는 b가 떡하니 들어가 있습니다. 어두에서 소리 안나는 k나 p같은건 봐았었지만, 어중에서 b가 있을법하지도 않은자리에 들어가 있고 소리도 안 나는 경우라서 처음 보면 난감하지 그지없는 단어입니다.(나만 그랬나??ㅋㅋ)doubt의 어원은 라틴어(만세!) 형용사 dubius에 있습니다. dubius는 duhibius가 줄여진것이라고 생각되는데, duhibius는 duo(둘) + habeo(가지다)가 변형된것입니다. 즉 두 가지를 가지고 있는것, 둘 사이에서 왔다 갔다하며 요동치고 흔들리는 것, 그래서 바뀔수있고 확실하지 못한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단어에서 dubito라는 동사가..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9

어원 이야기 23. 차(car)는 달리는것.

차(car)는 달리는것.자동차를 뜻하는 영단어 car는 어디서 왔을까요? 이 단어는 '달리다'는 뜻을 가진 PIE 어근 *kers에서 출발했습니다. 여기서 나온 라틴어 동사 curro는 '달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고, 여기에서 다양한 단어들이 파생되었지요. '경주, 달리기'를 뜻하는 명사 cursus도 나왔고, '4륜마차'를 뜻하는 명사 carrus도 나왔습니다. cursus라는 명사에서는 현재의 영단어 course가 나왔습니다. carrus라는 라틴어 명사는 중성 복수로 바뀌어 carra라고 쓰이다가, 이것이 돌아돌아서 중세 영어에 유입되어서 carre라는 단어가 됩니다. 그리고 현재의 형태인 car가 된것이지요.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8

어원 이야기 22. 버거(burger)는 지역 이름이었다!

버거(burger)는 지역 이름이었다!이제는 너무나도 대표적인 패스트 푸드가 되어버린 햄버거! 햄버거가 나타난 이후 햄버거는 다양하게 발전해서 치즈버거, 치킨버거, 불고기버거 등등 수많은 햄버거들이 생겨났습니다. 근데 모두다 burger를 붙이고 있는걸로 보아 '햄버거 같은 종류의 음식을 burger라고 부르는구나'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지요.하지만 엉뚱하게도 hamburger는 독일의 지역이름에서 왔습니다. 독일 함부르그(Hamburg) 지방의 사람들이 먹던 빵 사이에 고기를 끼워먹는 특유의 음식을 보고선, '함부르그의 것'이라는 의미의 독일어 형용사 Hamburger를 단어를 이용해 표현했는데, 이를 오해한 것이 발단이었지요.사람들은 빵 사이에 햄을 넣어서 먹는걸 hamburger라고 부른다고 생각하고..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7

어원 이야기 21. 사탕(candy)과 설탕(sugar)

사탕(candy)과 설탕(sugar)어제가 화이트데이였다지요. 다들 설탕?은 많이 받으셨는지요?ㅋ candy나 sugar같은 단어는 생김새가 딱봐도 라틴냄새가 나지 않지요. 알고보면 멀리멀리서 들어온 말이랍니다.영단어 candy는 고 페르시아어 qand(설탕, 사탕수수)를 거쳐서 아랍어 qandi가 되었다가, 이 단어를 고대 프랑스인들이 받아들이고, 이가 다시 영어로 들어와 형성된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좀더 거슬러서 고 페르시아어의 qand가 원-드라비다어 kantu(사탕수수)에서 유래되었을거라고 추정하기도 한답니다... 단어의 유래만 봐도 사탕수수가 어느지역에서 왔는지 알수가 있지요. 실제로 사탕수수는 아시아 열대지역 원생인것으로 밝혀졌습니다.sugar 역시 멀리서 온 영단어입니다. 산스크리트어에는..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글쓴이 ∫2tdt=t²+c

블로그 이미지

제가 안 것의 대부분은 인터넷으로부터 왔으니, 다시 인터넷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bab2min@gmail.com

댓글

태그

c++ 악보 pg어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포니게임 한국고대경제와사회 Direct3D python 텍스트 마이닝 NLP 영어구조론 토픽 모델링 kiwi BigFloat 자연언어처리 php 라틴어 리듬게임 정보조직론 문헌정보통계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
나의 큰 O는 log x야
메일 bab2min@gmail.com
Skin Images are from Stinkehun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