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큰 O는 log x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메뉴 리스트

  • 홈
  • Tag
  • Guestbook
  • Admin
  • 분류 전체보기
    • 적분史
    • 프로그래밍
      • PG어
      • 테크닉
      • 3D
      • Multi precision
      • 포니게임개발
      • 스페샬
      • NLP
    • 소리
    • 언어
      • 어원 이야기
      • 라틴어
    • 수업노트
      • 한국고대경제와사회
      • 영어구조론
      • 정보검색론
      • 인간의삶과역사속의미생물
      • 기타
    • 잉여
      • 미래
      • 수학
      • 종교개혁
    • 그냥 공부
    • 가짜 정보 정정합니다.

검색 레이어

나의 큰 O는 log x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언어

  • 어원 이야기 20. 편집하다(edit)의 재밌는 사연.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9. 별(star) 이야기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8. 에너지(energy)와 일(work)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7. 은하(galaxy)의 기원을 찾아서.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6. minute와 second는 어디서 왔나?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5. hour와 year는 친척?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4. 기타(guitar)는 어디서 왔을까요??

    2012.06.06 by ∫2tdt=t²+c

  • 어원 이야기 13. 피아노(piano)와 계획(plan)의 관계

    2012.06.06 by ∫2tdt=t²+c

어원 이야기 20. 편집하다(edit)의 재밌는 사연.

편집하다(edit)의 재밌는 사연.'편집하다'는 의미로 쓰이는 영단어 edit의 역사를 들춰보면 재밌는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edit의 기원은 아주 멀고 먼 라틴어 단어 edo입니다. edo는 ex(밖으로) + do(주다) 형태로, '내놓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edo의 supine은 editum인데 여기서 editio, editionis라는 명사가 파생되었지요. '밖으로 내놓다'라는 의미에서 '출판하다, 배포하다'라는 의미가 생겼고, editio라는 명사는 '출판', '배포'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거기에 사람을 뜻하는 -or 접미사가 붙어 editor라는 명사가 파생되었는데, 의미는 당연히 '출판하는 사람', '배포하는 사람'이었지요. 마침내 editor라는 라틴어 단어가 영어..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5

어원 이야기 19. 별(star) 이야기

별(star) 이야기오늘은 간단하게 별(star)에 대한 어원을 찾아보지요. 별을 영어에서는 star, 라틴어에서는 stella, 그리스어에서는 aster, 힌두어에서는 tara라고 합니다. 별과 같은 단어는 매우 기본적인 어휘라서 보통 다른 언어에서 차용되는 경우가 적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여러 언어들에서 '별'을 뜻하는 단어가 비슷한 것은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이 모든 언어들의 조상이었던 PIE에 '별'을 뜻하는 단어가 존재했다고 설명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밝혀진 별을 뜻하는 PIE 어근은 *h2ster입니다. 현대 영어의 star랑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반만년을 지나면서도 어형은 크게 바뀌지 아니하였군요. (역시 기초어휘의 위엄ㄷㄷ)천문과 관련된 여러 단어가 astro-로 시작하는데..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3

어원 이야기 18. 에너지(energy)와 일(work)

에너지(energy)와 일(work)중고등학교 과학시간에 배운걸 떠올려보자면, '에너지'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정말로 이 정의에 딱 맞는 말이 energy라는 단어인데, 이 단어의 기원을 찾아가 봅시다. energy는 그리스어 energon에서 나왔습니다. energon은 en(~안, ~에) + ergon(일)인데, 풀어보자면 at work, in work 정도의 의미가 됩니다. 오호라 과학시간에 배운 에너지의 정의와 거의 일치하는군요.ergon의 어원을 좀 더 파고들면 *wergom이라는 PIE 어근을 얻을 수 있습니다. *wergom은 고대영어에서 weorc이 되었고, 현대영어에서는 work라고 쓰지요. 결국 ergon과 work는 사촌이었던 겁니다.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3

어원 이야기 17. 은하(galaxy)의 기원을 찾아서.

은하(galaxy)의 기원을 찾아서.은하수는 나라에 따라서 다양하게 불립니다. 한자문화권에서는 주로 은하(銀河, 은빛 물)라고 부르는 반면, 유럽권에서는 Milky Way(젖길)이라고 불리지요. Milky Way의 유래는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나왔다는거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알거라 믿습니다. galaxy의 어원을 따져보면 galaxy 역시 Milky Way와 같은 뜻이란걸 쉽게 알수있습니다. galaxy는 라틴어의 galaxias에서 왔고, 이는 고대 그리스어의 galaxias에서 왔지요.*glakt 혹은 *galak은 '기르다', '젖을 먹이다' 등의 의미를 가진 PIE 어근입니다. 여기서 그리스어 galaxias가 파생된거지요. *glakt 어근은 라틴어로 들어가서 lac(속격은 lactis)가..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1

어원 이야기 16. minute와 second는 어디서 왔나?

minute와 second는 어디서 왔나?1시간을 60등분하면 1분이 되고, 1분을 60등분하면 1초가 됩니다. 이렇게 60등분해서 단위를 나누는 방법은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제일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있지요. 하지만 바빌론 사람들은 시간 단위를 60등분해서 사용하지는 않았습니다.시간단위를 60등분해서 사용하기 시작한 곳은 그리스라고 추정됩니다. 그리스의 천문학자들은 1항성일을 24등분하여 시간을 만들고, 1시간을 60등분하여 1분을 만들고, 1분을 60등분하여 1초를 만들었답니다.이를 받아들인 로마인들은 시분초를 다음과 같이 부르게됩니다.시간 : hora분: prima pars minuta (첫번째(prima)로 나누어진(minuta) 조각(pars))초: secunda pars minuta (두번..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1

어원 이야기 15. hour와 year는 친척?

hour와 year는 친척?시간을 의미하는 hour는 어디서 왔을까요? 먼저 hour는 라틴어 명사 hora(시간)에서 나왔습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로부터 유입되었는데 그 기원을 더 찾아올라가면 원인구어 *yora와 *yer(시간, 해, 년)가 있습니다. 이 단어의 후손이 영단어 year이지요. 결국 hour는 *yer가 그리스어-라틴어를 거쳐 들어온것이고, year는 *yer가 게르만어를 거쳐 들어온 것이지요!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40

어원 이야기 14. 기타(guitar)는 어디서 왔을까요??

기타(guitar)는 어디서 왔을까요?? 통에 여러개의 현을 매달아서 연주하는 악기는 전세계적으로 퍼져있지요. 잘 알려진 기타나 하와이의 우크렐레, 인도의 시타르, 동양의 월금, 비파와 같은 악기들을 비롯해 정말 수도 없이 많은 악기가 있습니다. 근데 왠지 이 악기들이 다 비슷한거 같지 않나요? 사실 이 모든 악기는 고대 중앙 아시아와 인도쪽에 존재했다고 추정되는 악기의 후손입니다. 비슷하게 생긴게 우연의 일치가 아니었던거지요. 기타의 어원을 거슬러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고대 페르시아어를 만날 수 있습니다.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tar는 '현'을 의미했지요. 인도의 시타르(sitar)가 무슨의미인지도 알수 있을거 같지요? sitar는 se(three) tar(string)이랍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악..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39

어원 이야기 13. 피아노(piano)와 계획(plan)의 관계

피아노(piano)와 계획(plan)의 관계 음악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피아노라는 악기 이름이 어디서 나왔는지 알것입니다. 피아노는 이탈리아어 pianoforte(여리게, 강하게)의 줄임말이지요. 피아노가 발명되기전 널리 쓰이던 건반악기인 하프시코드는 건반터치로 셈여림을 줄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피아노는 셈여림을 줄수가 있었고, 그래서 그 악기를 pianoforte라고 부르게 된 것이지요.그런데 이 pianoforte의 어원을 찾아가보자면, piano는 라틴어 형용사 planus(편평한)에서 나왔고, forte는 라틴어 형용사 fortis(용감한, 강한)에서 나왔답니다. planus와 생김새가 비슷한 영어단어인 plan 도 planus에서 파생된 것인데요, '편평하다'는 의미가 '건물을 짓기 ..

언어/어원 이야기 2012. 6. 6. 01: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글쓴이 ∫2tdt=t²+c

블로그 이미지

제가 안 것의 대부분은 인터넷으로부터 왔으니, 다시 인터넷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bab2min@gmail.com

댓글

태그

포니게임 php 문헌정보통계 토픽 모델링 python 영어구조론 c++ 텍스트 마이닝 자연언어처리 pg어 정보조직론 악보 NLP kiwi Direct3D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라틴어 한국고대경제와사회 리듬게임 BigFloat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페이징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
나의 큰 O는 log x야
메일 bab2min@gmail.com
Skin Images are from Stinkehun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