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문법적 범주의 이동에 대해서 다룹니다. Movement가 필요한 이유는 그동안 정리했던 X-bar 이론을 바탕으로 모든 문장을 설명할수가 없기 때문이죠. 이동을 통해 canonical order가 어떻게 surface order로 나타나는지 설명합니다.
이런 이동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36) Filthy fumes are not produced by these lorries.
(37) Filthy fumes have not been produced by these lorries.
(39) Filthy fumes may not have been produced by these lorries.
앞서 배운 이론대로라면 트리가 위 처럼 그려질 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죠. not이 조동사 뒤에 나타나지가 않습니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be나 have나 may를 I 노드에 그리기에는 규칙성이 없습니다. 구조상으로 볼때 트리는 위와 같이 나타나는게 제일 합당하죠. 그래서 movement라는 개념이 있는거죠. I노드와 제일 가까이 있는 동사가 I 노드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위의 불합리는 사라지게 되죠.
9.1 Verbal Movement : Aspectual Auxiliary
첫번째 Movement는 방금처럼 위에서 살펴본 V의 이동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처럼 제일 왼쪽의 조동사가 I로 이동하는 것인데요, 이는 VP의 Specifier인 not이 있을때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Adjunction이 들어가 있는 경우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9.2 NP Movement : Passive
또다른 흔한 Movement는 수동태에서 나타나는 NP의 이동입니다. 현재 학계 주류는 수동태의 주어로 나타나는 NP가 원래 동사의 뒤쪽 목적어 위치에 있었다고 간주합니다. 이는 대게 목적어 위치가 Patient의 theta-role을 가지고, 주어 위치가 Agent의 theta-role을 가진다는 관찰을 바탕으로 합니다.
(24) These lorries produce filthy fumes.
(25) Filthy fumes are produced by these lorries.
점찍힌 t는 trace를 표시하는 t입니다. Filthy fumes가 t위치에서 앞으로 이동했다는것을 보여주는 거지요. bracket notation으로는 IP까지 표현하면 너무 복잡해지기에 여기까지만 표시했습니다.
produce의 목적어 위치에 있던 NP filthy fumes는 주어 자리가 비어 있기에 이를 채우기 위해서 앞으로 이동합니다.
9.3 NP Movement : Subject-to-Subject Raising
이 이동은 SubC의 주어가 MatrixC의 주어로 이동하는 경우입니다.
(47) Danny seems to be working.
(48) Phil appears to be singing.
(49) It seems that Danny is working.
(50) It appears that Phil is singing.
(47)~(48)과 (49)~(50)을 비교해보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7)은 실제로 (49)의 의미이고, (48)은 실제로 (50)의 의미죠. 각 구 구조성분의 theta-role을 매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49) It seems [<Proposition> that [<Agent> Danny] is working]
(50) It appears [<Proposition> that [<Agent> Phil] is singing]
위의 문장에서 전체 절의 주어 it은 실제로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으므로 허사로 분류하고, theta-role을 매기지 않습니다.
그럼 이제 (47)~(48)의 theta-role을 매겨볼까요?
to-infinitive 절의 주어가 생략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대게 이런 경우 covert한 주어로 보아, 자명한 주어가 생략되어 있거나, 주절의 주어와 같은 녀석이 생략되어 있다고 보죠. 이 경우는 생략된 주어가 Danny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theta-role이 매겨지겠네요.
(47) [<?> Danny] seems [<Proposition> {<Agent> Danny} to be working]
(48) [<?> Phil] appears [<Proposition> {<Agent> Phil} to be singing]
이렇게 볼경우 제일 앞의 주어 Danny와 Phil의 theta-role이 모호해집니다. 이미 Agent는 Proposition 절 속에 생략되어 있는데 또 Agent가 있다고 볼수 없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깔끔한 해결책은 to-infinitive 절의 주어가 생략된게 아니라 movement했다고 보는거죠.
(47) [<Agent> Danny]_1 seems [<Proposition> t_1 to be working]
(48) [<Agent> Phil]_2 appears [<Proposition> t_2 to be singing]
이렇게 구성되는 문장을 Raising Construction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9.4 Movement in Interrogative Sentences: Subject-Auxiliary Inversion
이 역시 흔하게 볼수 있는 Movement로 의문문을 구성할때 발생하는 동사의 이동을 가리킵니다. 영어에서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해 조동사를 주어 앞으로 옮기는 방법을 사용하죠.
(57) Saul can play the piano.
(58) Can Saul play the piano?
교재에서는 주어 앞자리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으로 S노드를 사용했는데, 교수님께서는 그것보다 훨씬 깔끔한 해결책은 CP노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셨습니다.
Complementiser가 아닌 can이 어떻게 C자리로 갔는가는 설명하지 않기로하고(...) 위처럼 이동했다고 볼수 있겠죠!
여기서 빈자리로 등장하는 CP의 Specifier는 이제 뒤에서 살펴볼 Wh Movement를 위한 자리입니다.
9.5 Wh-Movement
의문사가 들어간 의문문을 만들때 발생하는 Movement입니다. 원래는 문장 중간에 있어야할 의문사가 문장 앞으로 등장하는 걸 설명합니다.
(68) What will you buy?
(69) You will buy WHAT?
원래 canonical order는 (69)와 같겠지요. 하지만 이게 Wh-Movement와 Subject-Auxiliary Inversion에 의해 (68)처럼 바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유의할 것은 Wh Movement는 의문사 단독으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73) How old are you?
(74) In which house do you live?
(75) Which house do you live in?
과 같이 Phrase 단위로 발생할수도 있다는 것이죠.
또한 (75) 같이 부사만 똑 떨어져 남는 경우를 preposition stranding이라고 부른답니다.
[영어구조론] 11. Constituency: Movement and Substitution - 2 (6) | 2013.12.18 |
---|---|
[영어구조론] 11. Constituency: Movement and Substitution - 1 (0) | 2013.12.16 |
[영어구조론] 10. Syntactic Argumentation (2) | 2013.12.13 |
[영어구조론] 8. Exercise (0) | 2013.11.20 |
[영어구조론] 8. More on Clauses 7. Exercise (1) | 2013.11.13 |
[영어구조론] 7. Cross-Categorial Generalisations: X-Bar Syntax (2) | 2013.11.06 |
댓글 영역